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좀 치료법 증상 예방법

무좀 이란?

무좀은 곰팡이(곰팡이)의 일종인 백선균에 의해 감염되며, 치료하기 어려운 것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무좀은 발백선의 속칭으로 주로 다음의 3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무좀 이란

1. 지간형

발가락 사이에 발병하는 타입으로, 무좀 속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4번째와 5번째 발가락 사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하얗게 피부가 벗겨지고 붉게 짓무르기도 하여 냄새가 심하게 날 수 있으며, 가려움증을 심하게 느끼는 유형입니다.

2. 소수포형

발바닥이나 발가락에 걸쳐 작은 수포가 발생하고, 그 수포가 터지면서 2차 감염을 이르킬 수 있는 유형으로 여름철에 활발하게 균이 생성되면서 악화되는 경향이 많고, 수포로 인한 가려움 등을 심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3. 과각화형

발 뒤꿈치를 중심으로 발바닥의 피부가 두껍게 각질이 생기고 갈라지면서 통증이 생기는 유형으로 가려움증은 거의 없어 무좀인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치료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좀(백선균)을 증식 시키는 요인

무좀 증식 요인

1. 고온・다습한 환경

2. 발가락 사이의 간격이 좁아 통풍이 안 되는 경우

3. 피부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

4. 장화와 부츠, 두꺼운 양말 등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앞에서 말씀드렸던 바와같이 무좀은 백선균에 의해 감염되고, 전염됩니다. 하지만 무좀을 가진 사람과 같은 목욕 매트를 사용하는 등으로 곧바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백선균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되거나, 번지기 쉬운 환경이 갖추어지면 무좀에 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좀과 비슷한 증상

무좀과 비슷한 증상을 가진 질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각, 원인이나 치료법이 다르기때문에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 

1. 접촉 피부염

피부에 외부 물질이 닿아 자극을 받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과 접촉하였을 때 나타나는 피부 질환으로 가려움증이나 습진, 빨갛게 부어오르는 증상을 볼 수 있습니다.

2. 피부 칸디다증

칸디다증은 칸디다라는 곰팡이균(진균)에 감염되었을때 나타나는 피부 질환으로 가려움증이나 발진, 빨갛게 부어오르는 증상등을 볼 수 있습니다.

3. 손바닥 농포증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작은 물집이 많이 생겨 고름이 쌓이고 피부가 빨갛게 변하는 피부질환으로 증상이 나아지거나 나빠지는 것을 반복하며, 가벼운 가려움증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무좀의 예방과 대처 방법

무좀을 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좀의 예방과 대처방법

1. 무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결한 발 관리가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발가락 사이를 벌려서 꼼꼼하고 부드럽게 닦아주고,  확실하게 건조시켜주는 것도 중요한 일입니다.

2. 신발을 장시간 계속 착용하거나 두꺼운 양말을 꽉 끼게 신는 것도 무좀이 발병하기 쉬운 조건입니다. 장시간 신발 착용을 피하는 것이 좋지만 피치 못하게 신게 된다면 간간히 신을 벗어 바람을 통하게 해주는 것이 좋고, 통기성이 좋은 양말을 착용하며, 양말을 자주 갈아 신는 것도 무좀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귀가 후 신었던 신발에 알코올 살균 스프레이를 뿌려주면 신발 안을 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양말도 세탁후  양말 안쪽으로 알코올 살균 스프레이를 뿌려두면 작게나마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무좀의 치료 방법

1. 외용약으로 치료

외용약은 크림이나 연고, 액체 등의 형상이 있으며 증상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연고는 자극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감염 부위에 사용할 수 있으며, 부어 오른 피부, 자극에 약한 상태나 건조한 발뒤꿈치에 즐겨 사용되고 있습니다. 크림은 연고에 비해 끈적임이 적기 때문에 여름철 등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에도 바르기 쉽고, 또한 건조해지는 증상등도 개선되므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투약 형태입니다. 액제는 사용감이 좋지만, 자극이 강하기 때문에 상처가 있는 경우나 광범위하게 확실히 발라야 하는 경우, 감염부위가 건조해져 있는 경우에는 처방되지 않습니다.

무좀의 치료 방법

2. 내복약으로 치료

감염된 부위에 각질이 두꺼워져 있거나, 손톱이나 머리카락, 혹은 몸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감염이 보이는 경우 혹은 외용약을 발라도 약의 효과를 보기 어려울 때에는 내복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백선 치료에 사용되는 내복제는 이트라코나졸과 테르비나핀입니다. 이들은 다른 약과의 섭취에 주의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평상시에 복용하고 있는 약이 있을 때에는  의사나 약사와 상담을 하셔야 합니다. 

 

무좀의 치료 기간

무좀의 치료 기간

손발의 무좀은 가려움증 이나 건조함 등의 증상이 개선되어도 완전히 치유되기까지 2~3개월 정도는 매일 외용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손톱 무좀(발톱 백선)은 반년부터 1년 이상 걸릴 수도 있으므로 끈기 있게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또,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의가 처방하는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해서 도중에 사용을 중지하지 않도록 합니다.